<p></p><br /><br />[리포트]<br>뉴스분석 오늘의 에디터, 하태원 국제부장입니다. 하 부장, 오늘의 분석 키워드는 뭡니까? <br> <br>문재인 대통령이 평창평화구상의 화룡점정을 위한 승부수를 던졌습니다. 키워드는 ‘특사 승부수’입니다. <br><br>[질문1] 2007년 김정일 만나 제2차 정상회담 성공시켰던 김만복 당시 국정원장 이후 11년만의 특사인데요. 이번에 가면 어떤 임무 받게 됩니까? <br><br>대내외 이목을 집중할 중요한 행보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. <br><br>일단 북한이 제안한 평양 방문 및 정상회담 조율이 떠오르고요. 북한이 남북관계 복원 및 북-미대화 재개의 전제조건 처럼 요구하고 있는 한미군사훈련 문제에 대한 입장 정리도 다룰 것 같습니다. <br> <br>무엇보다도 우리 입장에서는 비핵화에 대한 의중 파악이 가장 중요합니다. 모든 문제를 풀 가장 핵심 열쇱니다. <br> <br>[질문2] 그런데 한 가지 궁금한 점, 그동안의 방식과 달리 이번엔 날짜도 인물도 정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이례적으로 특사 파견하기로 했다는 계획을 공개. 우리 정부 좀 급한 겁니까? <br><br>그동안 특사는 대부분 비밀리에 추진됐고 임무를 마칠 때 까지 공개하지 않는 것이 관례였는데 이번에는 날짜는 물론 특사인선도 마무리 되지 않은 상태에서 특사 승부수를 던진 것이어서 대단히 이례적입니다. <br> <br>과정을 투명하게 공개하겠다는 뜻으로 볼 수도 있지만, 평창올림픽으로 조성된 대화의 불씨를 꺼트리지 않겠다는 강력한 의지로 보는것이 옳을 듯 합니다. <br> <br>독수리훈련이 4월 1일로 예정돼 있고, 유엔의 휴전결의안이 이달 25일까지라는 점도 고려한 행보로 볼 수 있습니다. <br><br>[질문3] 그런 상황은 잘 알겠는데, 가면 김정은을 만날 수 있긴 합니까? 이렇게 먼저 공개한 거 보면 어느정도 조율이 됐을 것 같기도 하고, 하 부장은 어떻게 보고 계십니까. <br> <br>가능성은 높지만 확신할 수는 없는 상황입니다. <br><br>김정은을 직접 만난 남측 인사는 2011년 김정일 조문차 방북했던 김대중 전 대통령의 부인 이희호 여사가 거의 유일합니다. 이 여사는 그후 4년 뒤 김정은의 초청을 받고 방북했지만 면담이 이뤄지지 않았던 경험이 있습니다. <br><br>1970년대 지금보다 더 은밀하게 대북 접촉이 이뤄지던 시절에도 김씨 일가는 면담 여부를 마지막 순간까지 공개하지 않던 습성이 있습니다. <br><br>1972년 최초의 특사로 방북했던 이후락의 경우 김일성이 전날까지 연략하지 않다가 갑자기 자정에 불러 면담이 이뤄지기도 했는데, 일종의 밀고 당기기 전략이었던 셈입니다. <br> <br>[질문4] 그런데 문제는 특사라는 게 대통령의 공개적인 승부수가 된 셈인 만큼 만에 하나 실패하면 그 후폭풍도 만만치 않을 것 같은데요? <br> <br>2000년 이후를 봐도 성공한 경우도 실패한 경우도 있었습니다. 2000년 5월 임동원 국정원장, 2005년 6월 정동영 당시 통일부장의 특사방문은 성공했던 반면, 2003년 1월 임동원-이종석 특사의 방북은 김정일 면담에 실패했습니다. 이후 대북송금 특검문제까지 어우러지면서 남북관계는 상당기간 진통을 겪었습니다. <br><br>[질문5] 미국은 특사추진에 좀 떨떠름한 느낌인 것 같습니다. <br> <br>완전하고, 검증가능하고, 불가역적인 핵폐기가 전제되어야 한다는 원칙만 되풀이 하고 있습니다. 대북특사가 비핵화에 대한 의미있는 진전을 이뤄내지 못한다면 문 대통령의 다음 승부수는 조기 남북정상회담을 통한 김정은 담판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. <br><br>앵커. 하태원 국제부장이었습니다.